최종편집 : 2025-07-02 오후 03:32:54

종합행정정치출향인사회/복지/여성산업문경대학·교육문화/체육/관광사람들길 따라 맛 따라다문화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독자투고

직거래장터

자유게시판

결혼

부음

뉴스 > 뉴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코로나19 시대 비대면 힐링 관광1번지 '선유동천 나들길'

문경시 선유구곡·쌍용구곡 등 구곡(九曲)에서 안전한 휴가 추천

2020년 07월 22일(수) 11:15 [(주)문경사랑]

 

ⓒ (주)문경사랑

문경시가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이해 코로나19 걱정 없는 안전한 비대면 휴가지로 ‘선유구곡’ 등 문경의 구곡(九曲)을 추천했다.

구곡은 주자의 이상향 ‘무이구곡’에서 시작된 것으로 선비들이 경영한 원림은 성리학이 지배한 조선시대 핵심문화이다.

구곡문화가 경상북도 지역에 많이 형성된 이유는 빼어난 산수가 있었고 걸출한 성리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었기 때문인데 경북도의 47곳 중 안동 9곳, 문경이 7곳을 차지한다. 선유구곡, 선유칠곡, 쌍룡구곡, 석문구곡, 산양구곡, 화지구곡, 청대구곡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문경에서의 자연과 문학, 미술이 융합된 조선 성리학을 보여준다.

그 중 으뜸인 선유구곡은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앞으로 흐르는 시내를 따라 펼쳐진 구곡원림이다.

선유구곡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곳이 선유동천 나들길은 산림청이 실시한 '2018 숲길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빼어난 곳이다.

선유동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신선(仙)이 노닐(遊) 정도로 아름다운 곳이고 계곡미가 빼어나 문경 8경의 하나로 꼽힌다.

ⓒ (주)문경사랑

선유동천 나들길은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운강 이강년 의병대장 기념관에서 출발해 선유동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는 코스로 꾸며졌다.

칠우칠곡과 선유구곡을 지나 대야산 용추계곡의 월영대까지 이어지는 길로 계곡을 따라 숲속을 걷기도 하고, 숲 비탈에 놓인 나무 데크 위를 걷기도 하고, 계곡을 가로지르기도 하면서 걷는 길이다.

학천정 정자에서부터 시작되는 '용추계곡'은 또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곳으로 전체 나들길 길이는 7.7㎞에 이른다.

나들길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은 일곱 명의 친우들이 바위에 이름을 새긴 1곡 칠우대를 시작으로 바위와 풍경에 이름을 붙인 '칠우칠곡'이다.

이어지는 일곱 구비의 절경은 2곡 망화담(꽃잎이 담기는 연못), 3곡 백석탄 (흰 돌이 아름다운 여울), 4곡 와룡담(용이 쉬는 연못), 5곡 홍류천(붉은 꽃잎으로 물드는 계류), 6곡 월파대(달빛이 파도 치는 곳), 7곡 칠리계(여울이 7리에 걸쳐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다.

이곳에서 상류로 이어지는 계곡이 선유구곡이다.

이곳 선유동은 전국의 선유동이라 이름 붙여진 명승지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라 할 수 있다.

계곡 곳곳에 펼쳐진 수백 명이 앉을 수 있는 거대한 암반들과 자연스레 포개진 거암들은 주변 소나무와 맑은 계류와 어울려 신선이 노니는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한국의 비경 100선 중 하나요 한국의 명수 100선으로 선정된 것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신라의 석학 고운 최치원도 이곳을 합천 해인사 계곡인 홍유동 계곡보다 좋다고 하면서 이곳에 지냈다고 전해진다.

칠우칠곡이 끝나면 시작되는 선유구곡의 제1곡은 '아름다운 안개가 드리우는 누대'라는 옥하대가 있고 이곳에서 돌아서면 2곡 '신령한 뗏목 모양의 바위'인 영사석이 나타난다.

'바위 위를 흘러온 물이 모여 만든' 3곡 활청담, '마음을 씻는 대'라는 4곡 세심대, 가장 중심이 되는 5곡 '여울목을 보다'는 뜻의 관란담에는 '굿은 대'라는 글도 바위에 새겨져 있다.

6곡 탁청대를 지나 7곡 영귀암, 8곡 난생뢰를 오르면 마지막 9곡 옥석대가 나타난다.

옥석대는 '득도 자가 남긴 유물'이라는 뜻을 가진 곳으로 이를 통해 도를 만나고 도를 얻는다고 한다.

옥석대에는 도암 이재 선생을 기리는 학천정이 있다.

조선 후기 노론 인물이었던 그는 선유동 상류인 용추동에 둔산정사를 짓고 후학을 길렀다 한다.

이후 둔산정사는 퇴락했고 1906년에 향토 사림들이 옥석대 곁에 학천정을 지었다 전해진다.

여기서 상류로 무당소와 용소암을 지나면 독특한 풍경의 용추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계속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면 넓은 바위에 계곡물이 흐르는 월영대가 나오고 이곳이 선유동천 나들길의 종점이 된다.

골골 마다 그 나름의 독특한 아름다운 정취를 달리한 경관은 하늘을 뒤덮는 아름드리 노송과 함께 태고의 자태를 고스란히 간직한 경관을 자랑하는 선유동천 나들길은 거대한 암벽에 새겨진 최치원의 글씨라는 '산고수장' 등 옛 선인들의 흔적을 보는 즐거움도 있다.

맑은 계곡을 따라 걷는 이 길은 코로나19 사태로 지친 심신을 달래주는데 안성맞춤이다.

문경시는 안전하고 청정한 관광코스 발굴과 리플렛을 제작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관광홍보를 추진할 방침이다.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
“주간문경을 읽으면 문경이 보인다.”
- Copyrights ⓒ(주)문경사랑.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문경사랑 기사목록  |  기사제공 : (주)문경사랑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요산혈증: 몸속 ‘요산’이 보

흙과 붓의 이어짐

Gen AI 시대(76): Ge

탕제와 환․산제의 약효차이

문경시 인사

문경시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시내버스 이용 촘촘하게 배려를

문경시청 권역 주차타워 준공

문경시보건소 진드기 및 모기 매

문경시가족센터 결혼이민여성 대상

창간사 - 연혁 - 조직도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구독신청 - 원격

 상호: (주)문경사랑 / 사업자등록번호: 511-81-13552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점촌2길 38(점촌동) / 대표이사: 황진호 / 발행인 : 황진호 / 편집인: 황진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진호
제호: 인터넷주간문경 / 등록번호: 경북 아00151 / 종별: 인터넷신문 / 등록일 2010.10.28 / mail: imgnews@naver.com / Tel: 054-556-7700 / Fax : 054-556-9500
Copyright ⓒ (주)문경사랑.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