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2 오후 03:32:54

종합행정정치출향인사회/복지/여성산업문경대학·교육문화/체육/관광사람들길 따라 맛 따라다문화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독자투고

직거래장터

자유게시판

결혼

부음

뉴스 > 사설/칼럼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제4차 산업혁명 시대 (63): 3G 이동통신

2020년 02월 11일(화) 16:50 [(주)문경사랑]

 

 

↑↑ 지홍기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문경대학교 특임교수
문경시지역발전협의회 의장

ⓒ (주)문경사랑

 

3G 이동통신 서비스의 특징

3G(3세대, 3rd Generation) 통신은 이동통신 기술의 3세대(2002)를 말하며, 3G 이동통신은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데이터 다운로드, 메일 주고받기, 메시지 보내기 등)를 모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동 통신사들이 설치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오는 방식으로 기지국이 촘촘하기 때문에 이동 중일 경우에 편리하다.

당시의 이동통신 기술은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지정한 IMT-2000 표준을 준수하는 모바일 장치 및 이동통신 사용서비스와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일련의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이동통신 기술의 속도와 기능이 획기적인 발전을 함으로써 3G 라 한 것이며, 이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속도는 1.9Mbps였다. 뿐만 아니라 고속 다운접속(HSPA) 기술이 등장함으로써 통신속도가 5.8~14.4Mbps로 빨라지게 되어 영상통화와 인터넷이 가능하게 되었다.

3G 스마트폰의 주요기술

이동통신 기술에 G라는 분류를 시작한 3G는 2G의 음성 및 문자 전송에 전송속도가 최대 2Mbps까지 지원되면서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통신기능이 추가되었다. 국내에서는 2002년에 3G기술이 시작되었으며, SK텔레콤은 T, KT는 Show, LG텔레콤은 Oz라는 브랜드를 출시하면서 경쟁하기 시작했다.

3G 이동통신의 가장 큰 특징은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라는 작은 칩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전에는 휴대전화 기기에 나의 이동통신 정보가 담기게 되어서 기기를 바꾸려면 반드시 기기변경이라는 절차를 통해서 새 기기에 회선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해야 했지만 3G에 와서는 유심에 나의 회선정보가 담기게 되어 기기를 바꾸더라도 유심만 옮기면 곧바로 새로운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무선인터넷과 휴대폰의 진화

1990년대 말부터 이동통신 회사들의 유무선상에 자체 포털 서비스를 개시했고, 2001년부터는 유무선 인터넷의 연동 서비스도 시작되었다. 무선인터넷은 엔터테인먼트부터 실용정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되었고, 무선인터넷 기능의 휴대폰 보급은 2002년 12월말 기준 3,000만 명으로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90%에 육박했다.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컬러의 큰 화면, 고음질, 고화질의 카메라, 대용량의 메모리 등을 갖춘 3세대 전용 휴대폰을 앞 다퉈 시장에 내놓았고, 이동전화 서비스회사 역시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주문형 음악(MOD, Music On Demand),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을 비롯해 위치추적, 모바일 결제, 컴퓨터 제어,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속속 출시했다.

손 안의 큰 세상, 휴대폰 라이프

3G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휴대폰은 손 안의 엔터테인먼트 기기이자 개인비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디지털카메라의 해상도에 필적하는 디카폰과 고음질, 대용량의 MP3 폰까지 등장해 다양한 이동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들이 휴대폰 하나로 통합되었다. 또한 휴대폰 하나로 교통카드, 신용카드 결제, 기능성 음악, 웰빙 서비스까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3G이동통신은 화상통화, 네트워크 게임, 커뮤니티, 쇼핑, GPS, 인터넷 서핑 등의 기능이 추가되고 다이어트,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웰빙 등의 보다 정교한 서비스까지 나오면서 이제는 휴대폰이라는 이름을 대체할 정도로 이동전화 기술과 다양한 기기의 융복합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
“주간문경을 읽으면 문경이 보인다.”
- Copyrights ⓒ(주)문경사랑.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문경사랑 기사목록  |  기사제공 : (주)문경사랑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요산혈증: 몸속 ‘요산’이 보

흙과 붓의 이어짐

Gen AI 시대(76): Ge

탕제와 환․산제의 약효차이

문경시 인사

문경시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시내버스 이용 촘촘하게 배려를

문경시청 권역 주차타워 준공

문경시보건소 진드기 및 모기 매

문경시가족센터 결혼이민여성 대상

창간사 - 연혁 - 조직도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구독신청 - 원격

 상호: (주)문경사랑 / 사업자등록번호: 511-81-13552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점촌2길 38(점촌동) / 대표이사: 황진호 / 발행인 : 황진호 / 편집인: 황진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진호
제호: 인터넷주간문경 / 등록번호: 경북 아00151 / 종별: 인터넷신문 / 등록일 2010.10.28 / mail: imgnews@naver.com / Tel: 054-556-7700 / Fax : 054-556-9500
Copyright ⓒ (주)문경사랑.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