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혈압을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이유
|
2020년 11월 17일(화) 16:11 [(주)문경사랑] 
|
|

| 
| | | ↑↑ 전종구
전종구내과의원장 <054)556-8555> | ⓒ (주)문경사랑 | |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하며 인간의 각 장기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혈관 내에 일정한 압력이 필요 합니다.
심장의 심실이 수축할 때 압력이 오르고 혈액이 나가면서 수축기 혈압이 만들어지며, 확장기에 대동맥판이 닫힌 뒤에 대동맥 압력 즉 확장기 혈압이 유지됩니다.
최고 혈압이란 수축기 혈압을 말하며, 최저 혈압이란 확장기 혈압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정 상태에서 측정한 수축기 혈압이 120mmHg 이하이고, 확장기 혈압은 80mmHg 인 경우에 정상혈압으로 정의하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혈관이 딱딱해지고 좁아지면서 혈관저항이 높아져 혈압이 올라가게 되는데 사회가 고령화되고 염분섭취량 증가, 비만, 운동부족, 과도한 음주,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고혈압 환자는 증상이 없으므로 고혈압 환자들이 심각하게 생각을 하지 않고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혈압이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두통이 동반되기도 하며 가끔 코피나 호흡곤란, 어지럼증 혹은 안저출혈이 동반될 때도 있습니다.
고혈압이 진행되면 고혈압성 심혈관 질환이 발생을 합니다.
주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70%가 고혈압이 원인이 됩니다.
또한 고혈압은 높은 압력을 좌심실벽에 주게 되어 좌심실 벽 비후가 일어나며 관상동맥의 죽상경화를 촉진시켜 심근으로 가는 혈류는 감소하고 심근의 산소요구량은 증가하므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같은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과 심부전, 부정맥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큰 동맥에서는 동맥경화성 변화가 오면서 벽이 두터워지고, 작은 동맥내에서는 내강의 폐쇄가 따르기도 하며, 뇌에서는 미세동맥류가 형성되어 출혈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경증 고혈압이라도 내버려 두면 7~10년 뒤에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고혈압 환자는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 “주간문경을 읽으면 문경이 보인다.” - Copyrights ⓒ(주)문경사랑.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주)문경사랑
기사목록 | 기사제공 : (주)문경사랑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