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주의하자!
|
2020년 12월 18일(금) 15:54 [(주)문경사랑] 
|
|

| 
| | | ↑↑ 전종구
전종구내과의원장 <054)556-8555> | ⓒ (주)문경사랑 | | 식중독과 감염성 장염은 더운 여름철에만 발생한다고 생각하지만 추운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 감염성 장염도 있습니다.
감염성 장염은 세균성 장염과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나뉘는데 세균성 장염은 대장균, 이질, 살모넬라균 등이 원인입니다.
대개 열이 나고 설사에 피나 코 같은 점액질이 섞여 나오며 보통 여름에 주로 발병합니다.
반면에 날씨가 추운 겨울에는 바이러스성 장염이 많이 발생하는데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유행하며 사람 간의 접촉, 감염된 식품 특히 굴이나 어패류 등 음식물에 의해 쉽게 전염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일단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대개 24~48시간 이후 간혹 예민한 사람의 경우 3~4시간 이후에 구역, 복통과 발열, 두통, 설사 등의 증상을 1~3일 정도 보입니다.
심한 경우 혈변이나 탈수증도 나타납니다.
온도가 떨어지는 추운 겨울에는 바이러스가 활동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되지만 노로바이러스, 인플루엔자 같은 일부 바이러스는 낮은 온도에서 활동성이 더욱 왕성해집니다.
또한 추운 날씨와 코로나 감염의 우려 탓에 실내생활이 많아지면서 각종 호흡기 및 소화기 감염의 원인 병원체들이 더욱 쉽게 전파됩니다.
요즘 유행하는 장염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저항성이 강해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며 기온이 낮을수록 활동성이 커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냉장고에 보관한 채소 같은 경우도 먹기 전 다시 한 번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감염자의 분변이나 구토물, 환자와 물건을 함께 쓰고 음식을 함께 먹을 때, 오염된 물건을 만진 손으로 입을 만졌을 경우 전염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됩니다.
반면 열에 약하므로 음식은 되도록 가열해서 먹고, 조개, 굴 등의 어패류는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합니다.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 기구도 뜨거운 물에 세척한 후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말리는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 “주간문경을 읽으면 문경이 보인다.” - Copyrights ⓒ(주)문경사랑.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주)문경사랑
기사목록 | 기사제공 : (주)문경사랑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