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2 오후 03:32:54

종합행정정치출향인사회/복지/여성산업문경대학·교육문화/체육/관광사람들길 따라 맛 따라다문화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독자투고

직거래장터

자유게시판

결혼

부음

뉴스 > 건강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퇴행성 무릎 관절염

2021년 02월 09일(화) 16:27 [(주)문경사랑]

 

 

↑↑ 엄용대
엄용대 한의원 원장<054-553-3337>

ⓒ (주)문경사랑

 

무릎에는 물렁뼈라고 불리는 연골이 있는데, 체중에 의한 무게가 무릎에 직접 전달되어 충격을 받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과 관절은 안정화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인 연골은 나이가 들수록 점차 닳게 되고, 또 무릎 주변의 연부조직, 즉 단단한 뼈 이외의 근육, 힘줄, 인대, 지방 등으로 구성된 부드러운 조직들이 두꺼워지고 탄력을 잃어 가면서 무릎의 퇴행적 변화와 더불어 통증을 가져오게 됩니다.

무릎은 넓적다리 뼈, 정강이 뼈, 무릎 뼈 등 3개의 뼈가 인접해서 이루는 관절입니다. 체중의 증가, 외상으로 인한 관절의 손상, 쪼그려 앉는 등의 무릎을 구부리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관절 연골에 지속적인 손상이 생기면 관절 내부에 염증이 발생하고, 염증으로 퇴행성 변화가 점점 더 진행되게 됩니다. 염증으로 인해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며 ‘시큰시큰’ ‘욱신욱신’ 등의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등산, 계단 오르내리기 등의 움직임에서 관절이 쉽게 붓고 아프며, 춥거나 비오는 날 무릎 통증을 심하게 느끼게 되며, 증상이 진행되면 굽히고 펴는 동작이 되지 않고, 평지도 걷기 어려우며,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쑤시고 아프며, ‘딸깍딸깍’ 하는 소리도 나게 됩니다. 더 심해지면 관절이 유난히 커지고 종래에는 O자형 다리로 변형도 일어나게 됩니다.

한의학에서는 근육은 간(肝)이, 뼈는 신(腎)이 기능을 관장하는 장부(臟腑) 인데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노년에 간신(肝腎)의 기(氣)가 약해져 근육과 뼈의 기능이 쇠퇴해진 상태에서 외부의 풍(風), 한(寒), 습(濕) 같은 차고 습한 기운이 침범해 통증을 유발한다”고 보았습니다. 실제로 퇴행성관절염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아픈 것은 아닙니다.

일흔이 넘으면 거의 모든 사람에게서 퇴행성관절염이 있지만 다 아픈 것은 아니며, 따라서 한약은 간신(肝腎)을 보강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진통시키는 약재를 배합하게 됩니다. 부종과 열감이 심한 급성기에는 진통이 위주인 활혈(活血: 혈액 순환이 원활하도록 하는 일), 습기와 통증을 없애는 약재 위주로 구성합니다.

부종과 열감은 없지만 지속적으로 은은하고 시큰하고 뻐근한 만성기에는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약재를 중심으로 이를 통해 관절을 구성하는 뼈와 주변 연부조직, 근육을 강화하도록 해 만성적인 통증을 완화시켜 줍니다.

퇴행성관절염이 심해서 슬관절 시술을 하는데 재활 치료를 적절히 하지 못한다면 주변 근육의 약화와 유착으로 통증이 발생하므로 유착을 방지하고 근육을 강화시키는 재활치료는 매우 중요한데, 이때 발생하는 유착과 통증을 침, 봉침, 약침, 매선요법과 같은 한방치료로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동시에 어혈을 풀어주고 뼈와 근육을 튼튼히 하는 한약치료를 해주게 되면 관절의 움직임 회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무릎관절 운동치료의 기본은 무릎을 최대한 구부리는 것과 펴는 운동법입니다. 무릎 구부리기는 무릎을 꿇고 바닥에 앉는 자세를 하는 운동이며 무릎 펴기는 한쪽 다리를 소파나 운동기구 위 또는 책상에 올려 둔 상태에서 무릎 앞쪽을 눌러 무릎 뒤가 최대한으로 늘어나게 하는 운동입니다.

이제, 입춘도 지나고 따뜻한 봄날이 다가오면 걷기운동이나 적절한 운동을 통하여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
“주간문경을 읽으면 문경이 보인다.”
- Copyrights ⓒ(주)문경사랑.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문경사랑 기사목록  |  기사제공 : (주)문경사랑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제30회 환경의 날 기념식 개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크골프대

문경시의회 제285회 제1차 정

문경시 경북농식품대전 참가 지역

아리솔지역아동센터 아동들 조선통

문경시가족센터 ‘우리동네 아빠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문경시협의회

제70회 현충일 추념식 충혼탑에

문경시 재향군인회 충북 제천&#

문경시청육상단 조하림 선수 국제

창간사 - 연혁 - 조직도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구독신청 - 원격

 상호: (주)문경사랑 / 사업자등록번호: 511-81-13552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점촌2길 38(점촌동) / 대표이사: 황진호 / 발행인 : 황진호 / 편집인: 황진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진호
제호: 인터넷주간문경 / 등록번호: 경북 아00151 / 종별: 인터넷신문 / 등록일 2010.10.28 / mail: imgnews@naver.com / Tel: 054-556-7700 / Fax : 054-556-9500
Copyright ⓒ (주)문경사랑.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