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2 오후 03:32:54

종합행정정치출향인사회/복지/여성산업문경대학·교육문화/체육/관광사람들길 따라 맛 따라다문화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독자투고

직거래장터

자유게시판

결혼

부음

뉴스 > 사설/칼럼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잉카족의 최후

2015년 07월 31일(금) 17:11 [(주)문경사랑]

 

 

↑↑ 김 안 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자치발전연구원 원장

ⓒ (주)문경사랑

 

자연과 인류의 역사에서 보면 완전 소멸, 곧 싹쓸이의 흔적들이 가끔 나타난다. 생물 진화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공룡(恐龍)이라고 할 수 있는 데, 2억년 전에 출현한 이 거대 동물은 중생대(中生代)의 주라기(Jura紀)와 백악기(白堊紀)에 번성하였다가 유성(流星)의 지구 충돌로 6,500만년 전에 갑자기 지구상에서 사라졌으며, 오늘날 화석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을 뿐이다.

기원전 2세기경 로마와 카르타고(Carthago)는 지중해를 중간에 두고 오랫동안 싸웠다. 그러나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Hannibal, 247~183 B.C.)이 포에니 전쟁에서 패하여 자살한 다음에 기원전 146년 로마의 소(小)스키피오(Publius Scipio, 185~129 B.C.)가 카르타고를 멸망시키고 로마의 속주로 만들었다. 이 때 로마 군대는 카르타고에 대한 긴 원한 때문에 사람은 물론 모든 동물과 풀 한 포기까지 살 수 없는 불모지로 만들고 그 위에 소금까지 뿌렸다.

또 하나의 완전소멸의 역사는 메디치가(Medici家)에서 찾을 수 있다. 이탈리아의 피렌체(Firenze)에서 일어난 메디치가는 경제력과 권력을 축적하여 문예부흥을 이끈 주역이 되었으나 1737년에 완전 몰락하고 후손마저 단절되고 말았던 것이다.

인류가 겪은 소멸의 역사 가운데 가장 비참하고 애달픈 사례는 잉카족(Inca族)에서 찾을 수 있다. 2만년 전 아시아대륙에서 베링해협을 거쳐 아메리카대륙으로 건너간 인디안부족 가운데 남미 서북지역에 정착한 족속이 잉카족이었다. 안데스산맥의 고지대에 살던 이들은 1240년경에 잉카국을 건설하였고 1471년경에는 두파크가 즉위하면서 대제국을 확립하여 그 영토가 에콰도르와 페루 및 칠레에 걸쳐 100만㎢의 영토를 갖게 되었다. 수준이 높은 문화․예술을 갖고 태양을 신앙하였으며 청동기를 사용하였다. 거대한 돌을 사용하여 산지와 사막에 수 마일에 걸쳐 수로․도로․제방을 쌓고 도시에는 거대한 신전과 궁전을 세웠다.

그러나 1531년부터 스페인에 의한 정복이 시작되었다. 피사로(F. Pizarro, 1478~1541)의 군대는 성경과 총을 앞세우고 잉카국을 침략했으며, 드디어 1533년에는 표고 3,457m의 높이에 있는 수도 쿠스코(Cusco)를 점령함으로써 잉카족은 멸망되었던 것이다. 큰 건물을 금으로 가득 채우면 살려주겠다고 한 스폐인 군의 말을 믿고 백성을 동원하여 방안을 금으로 채웠으나 그들은 그 왕을 죽인 잔혹성을 보였다. 처음 보는 성경과 십자가를 내밀며 알아듣지 못할 말로 협박하면서 오랜 역사를 가진 순박한 원주민을 가는 곳 마다 몰살시켰다. 성경이나 캐돌릭 교리의 어디에 이렇게 선교하며 이런 방식으로 남의 땅을 빼앗으라는 구절이 있는가?

나라가 망한 뒤 살아남은 잉카족은 우루밤바(Urubamba)강을 건너 높은 산 위로 도망가서 샘물이 나는 곳을 찾아 큰 돌로 성곽과 원탑과 제단을 쌓고 돌집과 길을 만들며 광장과 밭을 조성했다. 이곳이 바로 마추 픽추(Machu Picchu)였으며, 수 만명이 거주했던 것이다. 얼마 후 여기까지 알게 된 스페인 군대는 잉카족의 씨를 말리기 위해 이곳을 쳐들어오니, 일부만 살아 더 깊은 산속으로 도망갔던 것이다. 이러한 잉카민족의 슬픈 종말을 담은《철새는 날아가고(EI Condor Pasa)》라는 가요가 1990년대에 발표되어 구미 지역에 널리 보급되었다.

“달팽이가 되기보다는 참새가 되어야지/그래,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게 좋겠지/못이 되기보다는 망치가 되어야지/그래,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게 좋겠지/그 멀리 떠나고 싶어라 날아가버린 백조처럼/인간은 땅에 얽매어 가장 슬픈 노래를 부르고 있다네, 가장 슬픈 노래를/그렇게 될 거야.”

완전 소멸시켰던 카르타고 민족은 다시 살아나 2,000여년이 지난 오늘날 튜니시아(Tunisia)로 새로 태어났고, 싹쓸이되었던 잉카족은 남미 서부연안과 안데스산맥 사이에 500년간 끈질기게 살아남아 넓게 퍼져 번창하고 있다. 참으로 눈물 나게 다행한 일이다.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
“주간문경을 읽으면 문경이 보인다.”
- Copyrights ⓒ(주)문경사랑.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문경사랑 기사목록  |  기사제공 : (주)문경사랑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제30회 환경의 날 기념식 개최

제4회 문경새재배 전국파크골프대

문경시의회 제285회 제1차 정

문경시 경북농식품대전 참가 지역

아리솔지역아동센터 아동들 조선통

문경시가족센터 ‘우리동네 아빠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문경시협의회

제70회 현충일 추념식 충혼탑에

문경시청육상단 조하림 선수 국제

문경시 재향군인회 충북 제천&#

창간사 - 연혁 - 조직도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구독신청 - 원격

 상호: (주)문경사랑 / 사업자등록번호: 511-81-13552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점촌2길 38(점촌동) / 대표이사: 황진호 / 발행인 : 황진호 / 편집인: 황진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진호
제호: 인터넷주간문경 / 등록번호: 경북 아00151 / 종별: 인터넷신문 / 등록일 2010.10.28 / mail: imgnews@naver.com / Tel: 054-556-7700 / Fax : 054-556-9500
Copyright ⓒ (주)문경사랑.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